본문 바로가기
지원금

2025년 65세 이상 고령자 대상 건강보험 본인부담 경감 제도 정리

by l정보모음l 2025. 5. 7.
728x90

65세 이상 고령자가 병원을 이용할 때 적용되는 본인부담 감면 제도는
건강보험, 의료급여, 산정특례 등으로 구분되어 있으며,
각 제도마다 적용 대상과 감면 방식이 다릅니다.

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, 고령자에게 적용 가능한 본인부담 경감 제도를 정확하게 구분해 안내드립니다.

 

✅65세 이상 고령자 대상 건강보험 본인부담 경감 제도 정리

1. 노인 외래 진료비 정액제

적용 대상: 만 65세 이상 건강보험 가입자
적용 병원: 의원급 및 병원급 의료기관의 외래 진료

의원급 적용 구조:
- 총 진료비 15,000원 이하: 본인부담금 1,500원 (정액)
- 총 진료비 초과 시: 10%~30% 정률 적용

※ 병원급은 의원보다 상향된 구간 기준 적용 ※ 약국 비용은 별도이며, 자동 적용됨


2. 의료급여 수급자 고령자

적용 대상: 만 65세 이상 + 의료급여 1종 또는 2종 수급자
적용 법령: 건강보험이 아닌 의료급여법

입원 진료:
- 1종: 본인부담 0% 또는 면제
- 2종: 본인부담 10%

외래 진료 (2025년 10월부터 정률제 시행 예정):
- 1종: 의원 4%, 병원 6%, 상급종합병원 8%
- 2종: 의원 4%
- 약국: 2%

※ 외래 본인부담 상한선: 회당 20,000원 ※ 약국 본인부담 상한선: 회당 5,000원 ※ 정률제 시행 전까지는 기존 정액제(의원 1,000원 등) 병행


3. 산정특례 등록 어르신 (희귀·중증 질환)

적용 대상: 65세 이상 어르신 중 암, 희귀난치성질환, 중증질환 진단자
등록 방식: 병원 진단 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신청

감면 범위:
- 외래 및 입원 진료에 적용
- 본인부담률 5%~10%
- 약국 조제비 포함

※ 등록 유효기간 존재 (통상 5년), 이후 재등록 필요


4. 신청 방법 요약

- 외래 진료비 정액제: 자동 적용 (신청 불필요)
- 의료급여 수급자: 주민센터에서 수급자 등록 시 자격 부여됨
- 산정특례 등록: 병원 진단서 발급 → 공단 지사에 등록 신청

문의 기관:
-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: 1577-1000
- 주소지 주민센터 복지팀


맺음말

고령자의 병원비 감면 제도는 생각보다 복잡하지만,
정확한 제도별 구조를 알고 접근하면 실질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외래 정액제처럼 자동 적용되는 항목도 있지만,
의료급여 수급자나 산정특례 대상자는 반드시 자격 등록이 필요합니다.

오늘 안내드린 내용을 바탕으로 본인 또는 가족의 적용 가능성을 꼭 확인해보세요.

728x90

댓글